경기도박물관, 특별전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誌石)’죽은 사람 인적사항, 무덤위치·방향 적어 무덤에 묻은 돌·도자기
|
![]() © |
[시사일보=최승곤 기자] 경기도박물관은 내년 3월 26일까지 1층 기획전시실에서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誌石)’ 특별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경기도박물관의 대표 유물 중 하나인 조선시대 지석을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자리로 박물관의 소장품 1,300여 중 상당수를 엄수해 개최하게 됐다.
여기서 지석이란 죽은 사람의 인적사항, 무덤의 위치와 방향(坐向) 등을 적어서 무덤에 묻은 판판한 돌(板石)이나 도자기판(陶板)을 가리킨다. 특히 지석은 조선왕조의 법전인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에서 지석 제작·매납 방법을 따로 기재했을 정도로 중요한 지배층 예절 문화의 일부로 알려져 있다.
경기도에서 출토된 지석에는 조선시대 국가 운영의 핵심이었던 경기 사대부들의 삶과 가치관, 그들의 죽음을 대하는 태도 등이 생생하게 글로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
이번 전시회의 큰 구성을 살펴보면 지석의 의미와 유래, 그에 담긴 사대부들의 삶과 후손 이야기 등을 중심으로 꾸며져있다. 대표적으로 황희 정승의 아들 황수신, ‘경국대전’ 편찬에 참여했던 서거정, 임진왜란 좌의정으로 선조를 보필한 유홍, 효종 대 무장으로 북벌을 추진한 우의정 이완 등 역사 속 인물 수십 명과 그들에 대한 기록인 지석 700여 점이 전시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1부 ‘예(禮)를 다하다’에서는 유교를 기본 통치이념으로 삼은 새로운 왕조 조선이 유교의 상장례의 하나인 지석을 국가적 차원으로 권장한 배경과 도자 지석의 시작을 만나볼 수 있다. 조선시대 전 기간 사대부들의 지석은 도자 지석이 주로 만들어진 점이 특징이다.
2부 ‘삶을 기록하다’에서는 도자 지석의 변화와 흐름을 알 수 있게 각 시대별 주요 유물을 소개하고 있다. 각 시기별 상황에 따라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여 예와 효의 도리를 다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15세기는 고려의 전통인 불교적 색채가 있는 분청사기 지석과 새로운 유교의 규범에 따른 백자 지석이 공존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보물 제1768호 <백자 흥녕부대부인 지석>(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은 세조의 장모인 인천이씨(1383~1456)의 지석으로 조선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청화백자 지석이다. 이와 더불어 <백자 황수신 지석>은 경기도 광주의 왕실 관요(官窯)가 설치되는 1467년에 제작된 의미있는 지석이다. 지석은 글을 새겨넣는 방법에 따라 음각, 상감, 청화, 철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한다.
17세기 전반 전란으로 어려웠던 시기에 만들어진 <백자 이종린 지석>은 철화 안료로 지어졌다. 왕실의 종친이자 사옹원 제조였던 이종린을 위해 정성스레 만들어진 가치를 인정받아 경기도문화재자료(제 136호)로 지정되었다. 18세기에 들어서는 사회의 안정으로 청화백자 지석이 유행하게 되는데 <백자 민백복 지석과 지석함>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 |
3부 ‘사대부의 정신을 잇다’는 조선 후기 경기 사대부의 면면을 살피기 위해 5개 가문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정성껏 제작한 지석을 통해 선조들이 남긴 삶의 가치를 전했고 행적을 추모했으며, 아울러 초상화와 저술 등을 통해 사대부 가문의 품격을 높힌 점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효종~현종년간 두 임금을 보필하며 북벌 추진을 뒷받침했던 심지원의 <청송심씨 인수부윤공파 종중>, 용인현 산의실에 대대로 세거하며 중앙 남인세력으로 활동했던 <청송심씨 사평공파 종중>, 인조 반정 이후 중앙 벌열로 현달하며 세도의 중심이었던 <풍양조씨 회양공파 종중>, 18세기 탕평정치를 뒷받침했던 유직기의 <기계유씨 종중>, 서울 경기지역 노론 낙론 학맥의 으뜸가는 학자를 배출한 홍직필의 <남양홍씨 종중>의 이야기가 있다. 이들은 모두 서울·경기지역에 세거하며 조선의 정치 문화에 큰 영향을 남겼다.
경기도/최승곤 기자